| 회차 |
강의명 |
강의시간 |
첨부파일 |
샘플보기 |
| 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과정 OT | 13분 | |  |
| 2 | Ⅰ한국사의 시작 제1편 선사시대의 문화 제1장 역사의 의미 ~ 제2장 선사시대의 전개 | 51분 | | |
| 3 | Ⅰ 한국사의 시작 제2편 국가의 형성 제1장 청동기와 철기 문화 | 42분 | | |
| 4 | Ⅰ 한국사의 시작 제2편 국가의 형성 제2장 고조선 ~ 제3장 여러 나라의 성장 | 54분 | | |
| 5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1장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1 | 39분 | | |
| 6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1장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2 | 42분 | | |
| 7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2장 삼국의 통치 체제 | 38분 | | |
| 8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3장 삼국의 대외관계와 삼국통일 | 36분 | | |
| 9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4장 남·북국시대의 정치 1 | 42분 | | |
| 10 |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4장 남·북국시대의 정치 2 | 44분 | | |
| 11 | Ⅱ 한국 고대사 제2편 고대의 경제 제1장 삼국의 경제 ~ 제2장 남·북국 시대의 경제 | 41분 | | |
| 12 | Ⅱ 한국 고대사 제3편 고대의 사회 제1장 신분제 사회의 성립 ~ 제3장 남·북국 시대의 사회 | 46분 | | |
| 13 | Ⅱ 한국 고대사 제4편 고대의 문화 제1장 학문의 발달 ~ 제2장 종교와 사상의 발달 | 47분 | | |
| 14 | Ⅱ 한국 고대사 제4편 고대의 문화 제3장 과학기술의 발달 ~ 제5장 일본으로 건너간 문화 | 47분 | | |
| 15 |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1장 중세 사회의 성립 ~ 제2장 중세 사회의 전개 | 44분 | | |
| 16 |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3장 통치 체제의 정비 | 49분 | | |
| 17 |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4장 문벌귀족사회 성립과 동요 | 36분 | | |
| 18 |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5장 대외관계의 변화 1 | 33분 | | |
| 19 |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5장 대외관계의 변화 2 | 44분 | | |
| 20 | Ⅲ 한국 중세사 제2편 중세의 경제 제1장 경제 정책 ~ 제2장 경제 활동 | 43분 | | |
| 21 | Ⅲ 한국 중세사 제3편 중세의 사회 제1장 고려사회의 구조 ~ 제2장 백성들의 생활 모습 | 52분 | | |
| 22 | Ⅲ 한국 중세사 제4편 중세의 문화 제1장 유학과 역사서 ~ 제2장 불교사상과 신앙 | 49분 | | |
| 23 | Ⅲ 한국 중세사 제4편 중세의 문화 제3장 귀족 문화의 발달 | 36분 | | |
| 24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1장 근세사회의 성립과 전개 | 42분 | | |
| 25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2장 통치 체제의 정비 1 | 36분 | | |
| 26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2장 통치 체제의 정비 2 | 48분 | | |
| 27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3장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1 | 46분 | | |
| 28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3장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2 | 38분 | | |
| 29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4장 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1 | 48분 | | |
| 30 |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4장 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2 | 38분 | | |
| 31 | Ⅳ 한국근대사 제2편 근세의 경제 제1장 경제 정책 ~ 제2장 경제 생활 | 51분 | | |
| 32 | Ⅳ 한국근대사 제3편 근세의 사회 제1장 신분 제도 ~ 제2장 사회 정책과 시설 | 39분 | | |
| 33 | Ⅳ 한국근대사 제4편 근세의 문화 제1장 민족 문화의 발달 | 38분 | | |
| 34 | Ⅳ 한국근대사 제4편 근세의 문화 제2장 성리학의 발달 ~ 제5장 문학과 예술의 발달 | 52분 | | |
| 35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1편 정치 상황의 변동 제1장 통치 체제의 변화 ~ 제3장 세도 정치의 시작 | 50분 | | |
| 36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2편 경제 상황의 변동 제1장 수취 체제의 개편 | 47분 | | |
| 37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2편 경제 상황의 변동 제2장 서민 경제의 발전 | 49분 | | |
| 38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3편 사회의 변동 제1장 사회 구조의 변동 ~ 제2장 사회 변혁의 사상적 움직임 | 52분 | | |
| 39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4편 문화의 새 기운 제1장 사상계의 새로운 동향 | 59분 | | |
| 40 | Ⅴ 한국 근대사(태동기) 제4편 문화의 새 기운 제2장 과학 기술의 발달 ~ 제3장 문화의 새 경향 | 41분 | | |
| 41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1 | 57분 | | |
| 42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2 | 52분 | | |
| 43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3 ~ 제2장 주권 수호 운동 1 | 58분 | | |
| 44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2장 주권 수호 운동 2 | 42분 | | |
| 45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2장 주권 수호 운동 3 ~ 제2편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 53분 | | |
| 46 | Ⅵ 한국 근대사(발전기) 제3편 개항 이후의 문화 제1장 근대 문화의 수용 ~ 제2장 근대 문화의 형성 | 37분 | | |
| 47 |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1편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시련 제1장 국권의 피탈 ~ 제3장 식민지 경제 정책 | 52분 | | |
| 48 |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1장 1910년대 항일 운동 | 50분 | | |
| 49 |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2장 대한민국 임시 정부 ~ 제4장 1920~1940년대 항일 독립전쟁 1 | 49분 | | |
| 50 |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4장 1920~1940년대 항일 독립전쟁 2 ~ 제3편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 제1장 사회주의 민족 운동 | 46분 | | |
| 51 |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3편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 ~ 제4편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53분 | | |
| 52 | Ⅷ 현대 사회의 전개 제1편 현대의 정치 변동 ~ 제3편 현대 문화의 동향 | 55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