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 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창원에 사는 42세 가장입니다.
2. 왜 운전직을?
중소기업만 10년 넘게 다녔지만, 항상 경기침체와 부도 등 불안한 마음이 있어 미래에 대해 언제나 불안한 마을을 가지고 있던 중, 우연히 운전직공무원이 있다는 것을 알고(영어가 없다) 망설임 없이 시험에 응시하게 되었습니다.
3. 왜 스터디채널을?
시험 결심을 하고 제일 먼저 고민한 것이 강의를 선택의 문제 였는데, 유튜브와 운전직까페 등을 통해 도로교통법 김진아교수님, 사회 이재은교수님, 자동차구조 백광열교수님 강의를 알게 되어 공개강의를 들어보았습니다. 역시 김진아교수님 강의는 시원시원했고, 이재은교수님 강의는 꼼꼼했으며, 백광열교수님 강의는 어려운 자동차구조를 쉽게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수업은 이분 3명으로 결정하고 인강 사이트를 찿던 중 스터디채널에서 패키지로 3분 교수님 강의가 있는 것을 보고 바로 결정하고 그날로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4. 수험기간과 공부시간은?
1) 2016. 05 ~ 2016. 09
2) 월~토 하루 평균 10시간
5. 과목별 공부는?
1) 사회 “사회는 나오는 파트가 정해져 있습니다”
- 매일 아침 1시간은 사회강의 노트 읽기입니다. 꼼꼼하게 암기보단 그냥 속독으로 읽습니다.
- 5~7월은 강의 1회 + 운전직사회단원별문제풀이(대략 460문제 1회) + 장혁사회 기본서 문제풀이(1,400문제 3회) 했습니다.
- 8월은 매일 모르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공략했고, 매일 기출문제 풀이 및 기출문제풀이 강의를 유튜브로 찿아서 봤습니다.
같은 기출이라도 교수님이 틀리면 문제풀이 과정이 틀립니다. 그래도 모르는 문제가 있다... 수능강의 찿아봤습니다.
- 9월 출판사별로 모의고사 사서 풀었습니다. 3.5회중 1회 만점, 최악 80점 이었습니다. 연속으로 같은 문제 2번 풀었는데,
첫 번째는 20분에 풀고, 두번째는 시간무제한으로 문제를 다시 풀었습니다. 총 4권 + @ 풀었습니다.
2) 도로교통법
“도교는 김진아 교수님만 믿고 따라 가세요”
2번은 정주행으로 공부했고, 이후는 문제위주로 공부했습니다.
1문제당 최소 10번은 풀었습니다.
외워야 되는 부분은 별도 암기노트로 정리했습니다. 약 10장 정도... 매일 10분 투자
3) 자동차구조
“자동차는 용어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암기 아닙니다. 이해입니다.
유튜브 찿아서 동영상으로 이해하면 응용문제 나와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1회독 : 강의 후 문제풀이, 문제풀이 강의
이후 기능사문제 2016년 포함 12년치 무한반복 풀었습니다.
기본서 비중에 가장 떨어지는 과목이었습니다. 기본적인 강의만 듣고 기능사 기출문제, 유튜브 동영상, 네이버 자동차기술블로그,
자동차용어사전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6. 기타 공부에 관한 조언
1) 책을 깨끗이 보기. 전 연필과 지우게로 공부했습니다. 형광펜 볼펜 일체 사용 안했습니다.
반복해서 보기 때문에 연필만으로 살짝 체크만 했습니다. 3회 이후론 지우게로 줄친부분 지우면서도 공부했습니다.
2) 문제풀이는 연습장에... 1번의 연장선상입니다.
3) OMR 마킹연습 10일 이상... 한문제 구해줄수 있습니다.
4) 문제풀기 -> 설명 or 기본서 확인 -> 답안지 보기.
7. 가장 중요한 것
위에 공부법을 나름 적어봤는데. 사실 이건 제가 공부한 방법이지 이글을 보는 분들의 공부법은 아닙니다. 저도 초반에 타인의 공부법 찿아보고 따라 해봤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반복과 회전속도 높이기” 였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서 문제를 정주행으로 풀면 장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은 같은 파트문제가 연속으로 나온다는 겁니다. 저절로 암기가 됩니다. 단점은 1번 문제 설명으로 2번 문제 풀고, 1번 2번 문제설명으로 3번 문제 푼다는 겁니다. 바로 3번 문제를 풀었을 때 과연 풀수 있을까? 의문이 생깁니다. 또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장혁사회 기본서 문제만 1400문제입니다. 15일정도 걸립니다. 1일날 1챕터 보았다면, 16일 뒤 1챕터 볼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법이 한 챕터문제의 10%만 풀기입니다. 그럼 전챕터 1~2일이면 다 볼수 있습니다. 회전속도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거지요.(물론 전체를 다보려면 정주행과 같은 시간이 걸리지만) 책을 넘기면서 슬쩍 슬쩍 쳐다보는 것도 기역을 환기시킬수 있어 암기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많이 틀렸던 문제는 별표가 많기에 저절로 눈이 갑니다.
8. 2016년 3회 경남의 합격 당락은?
사회는 넘 쉬웠습니다. 합격자들 대부분 의견입니다.
도로교통법은 응용문제가 많았으나. 김진아교수님 강의 듣고 충실했다면 1개 틀렸을 겁니다...
틀린 문제 정답 아직 모릅니다.
결국 당락은 자동차구조에서 났습니다. (합격컷이 90.5)
아마 기본서만 봤다. 기능사 12년치 봤다. 이래도 합격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문제가 처음 보는 기능을 묻는 것은 아니었으나, 선지가 기본 2줄... 문제하나에 10줄 정도로 기역합니다. 단순 암기로 풀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결국 머릿속에 자동차 기능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된사람이어야 풀었다는 겁니다.
9. 마무리...
시험치기 전후 가장 많이 느낀 감정이 “감사”입니다.
묵묵히 지켜보고 격려해준 가족, 공부장소를 제공한 도서관, 문제지... 연필과 지우개...
학과 교수님들... 특히 “시청, 군청에 출근하는 당신의 모습이 보고 싶다는 김진아 교수님”
대박 격려 받았습니다. 주위에 추천 10,000번 들어 갑니다.
P.S 오늘 입사 관련 서류 제출하고 왔습니다. 이제야 합격이 실감나네요...
이글을 보시는분들도 모두 합격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