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기사 관련 학과에 해당하는 다양한 분야들 | 2023-10-18 | 조회수 3898 |
전기산업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통해 취득이 가능하며,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크게 3가지 분야로 구분되며,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로 해당 분야 주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첫 번째, 기술자격증 소지자라면, 동일 및 유사분야에서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을 소지해야 한다. 기능사 취득자는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며, 기능경기대회 입상자와 동일종목의 외국자격증 취득자도 자격 소지자로 인정된다. 두 번째로 전공자는 전문대 이상의 관련학과 졸업자 혹은 졸업예정자가 해당한다.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및 이수예정자도 인정된다. 세 번째, 경력자는 동일 및 유사분야에서 최소 2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전기산업기사 시험 자격 조건 중 관련학과로는 대표적으로 '전기과, 전기공학과, 전기시스템과, 전기자동화과' 등이 있고, 동일직무분야로는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에너지'가 해당한다. 관련학과 또한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분야,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중 방송 직무분야, 건설분야, 기계분야, 재료분야, 정보통신 직무분야, 전기·전자 직무분야, 안전관리 분야, 환경·에너지 직무분야'가 모두 인정되어 다양한 학과들이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조건에 해당한다.
대표적으로 '전기·전자' 직무분야의 경우 '전기'학과와 '전자'학과로 구분된다. 전기분야에 해당하는 학과에는 건축전기설비, 기계전기계열, 디지털전기, 발명특허학, 승강기전기설계, 신재생전기에너지학, 열처리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기계공학과, 전기설비, 전기시스템, 전기전자통신, 전력시스템, 전자정보공학, 제어계측, 조명인테리어, 철도전기, 컴퓨터제어, IT응용시스템공학 등이 있으며, 전자분야의 학과에는 게임, 미디어전공, 광전자, 광통신, 나노과학, 데이터베이스, 뉴미디어디자인, 디스플레이공학, 디지털경영, 매체공학, 멀티미디어정보, 모바일네크워크, 반도체공학, 병원의료공학, 보건IT, 소프트웨어개발, 시스템정보, 의료정보공학, 인터넷공학, 임베디드시스템, 전기전자전파공학, 전산수학, 전산정보, 전자정보통신공학, 전파통신, 정보기술공학, 정보·컴퓨터공학, 제어기계공학, 인터넷공학, 컴퓨터·IT공학, 컴퓨터미디어, 통신, 통계학, IT정보계열, LCD반도체 등의 학과들이 있다. 본인의 응시가능 여부 파악이 어렵다면, 큐넷에서 제공하는 '응시자격 자가진단' 서비스를 이용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